- KOR
- ENG
- 등록일 : 2024.03.08
- 조회수 : 890
산업통상자원부
올해 역대 최대수출 7000억 달러 달성한다!
2024년 범부처 수출 확대 전략 (제3차 '민관합동 수출확대 대책회의'(2.28.)
최근의 수출입 평가
산업통상자원부
지난해 글로별 교역 부진은 전 세계적 이슈
WTO.2023년 글로벌 교역량 증가율 전망 대폭 하향"
당초 1.7%→ 0.8%
지난해 10월 수출 플러스와 무역수지 흑자 동시 달성
일본, 중국 등 주요 아시아 수출국에 비해 조기에위기탈출
무역의존도가 높은 다른 통상 국가들'에 비해 더 높은 경제성장률* 기록
무역의존도(2021년, %)한국69.3, 독일 71.8, 네덜란드 157.9, 싱가폴 203.6, 대만 107
실질 GDP 성장률(2023년, %) 한국 1.4, 독일 0.3, 네덜란드 0.2 싱가폴 1.0 매대만 0.8
전략1 글로벌 4대 메가트렌드대응
산업통상자원부
글로벌 4대 메가트랜드는?
공급당 재편, 탄소중립, 디지털 전환, 인구구조 변화
20대 주력품목 선정
반도체, 이차전지, 자동차, 조선, 철강, 석유제품, 화학, 디스플레이, 원전, 방산 등
수출 타깃 시장 선정 및 공략
주력시장 | 전략시장 | 신흥시장 |
---|---|---|
미국 | 유럽연합(EU) | 인도 |
아세안 | 중동 | 중남미 |
중국 | 일본 | 독립국가연합(CIS) |
전략2 범정부 총력 지원
산업통상자원부
무역금융(360조 2000억원)
- 방산·원전·플랜트 프로젝트 수주 지원
- 수출 중소·중견기업 유동성 지원 확대
- 중소기업 대상 단체보험 확대 등
수출 마케팅(1조원) 수출바우처(1679억원)
- 수출 테크기업·내수기업 등 신규 지원
- 민간중심 10개 유망시장 무역사절단 신규 출범
결과: 해외시장 집중 파견
해외인증 지원
- 국내외 시험인증기관간 상호인정품목 200개 이상으로 확대
- 해외인증 시험비용 인하 기간연장 등
전략3 범부처 협업체계 강화
산업통상자원부
농식품부, 복지부 등 유관부처와 협업체계 구축
- 대표 전시·상담회에 부처별 전용관 설치
- 유명 해외전시회에 통합한국관 구축 확대
대형 수주 프로젝트별 공동 금융지원 방안 마련
방산, 원전, 플랜트 등 대상
신선식품 콜드체인 물류체계 구축
부처별 소관 해외공동물류센터 활용
해외인증 취득에 대한 협업 추진
화장품, 의료기기, 할랄식품 등 대상
코트라, 수출지원, 플랫폼으로 전환
- 타부처 수출 지원기관에 무역관 전면 개방
- 유망분야 수출지원 거점·중점 무역관 193개소로 확대(현재 168개소)
전략4 수출 밀착지원형 통상전략 전개
산업통상자원부
글로벌 사우스 국가들과 협력벨트 구축
- 중동, 중남미, 아세안, 인도, 아프리카 등의 국가 대상
- 글로벌 경제안보 시대 수출 활로 시장 개척
수출통제 환경규제 등에 대응한 경제안보 통상전략 수립
산업통상자원부
"글로벌 4대 메가트렌드가 본격화하면서 올해는 우리 수출의 큰 위기이자 기회가 될 전망인 만큼 정부는 범부처 차원의 수출 드라이브에 총력을 기울이겠습니다."
-
- 이전글
-
[산업통상자원부] 2024년 2월 수출입동향
- 2024.03.08
-
- 다음글
-
[국민권익위원회] 국제뇌물방지법
- 2024.04.08
무역보험 용어집
현재 페이지의 내용과 사용 편의성에 대해 만족하십니까?
- 담당부서 : 홍보부 고객센터 : 1588-3884
답변을 받을 수 없는 의견함 입니다. 답변을 원하시는 질문은 [고객참여 > Q&A]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